1. KOSDAQ이란 무엇인가?
KOSDAQ(Korea Securities Dealers Automated Quotation)는 벤처기업 또는 중소기업에 안정적인 자금을 공급하기
위해 설립된 장외시장입니다.
KOSDAQ이 만들어진 이유는 코스피보다 규모가 작은 중소기업 또는 벤처기업을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이름 코스닥은 미국의 나스닥을 본떠서 만들었습니다.
2. KOSDAQ 지수 공식
KOSDAQ = (비교시점의 시가총액 / 기준시점의 시가총액) * 1000
- 비교시점 : 현재시점
- 기준시점 : 1996년 7월 1일
3. KOSDAQ 상장 조건
(1) 규모요건
1) 기업 규모 * 아래 선택 1~2중 하나만 충족하면 됨
선택 1) 자기 자본 100억 원 이상
선택 2) 기준시가총액 200억 원 이상
2) 상장주식수 : 100만 주 이상
(2) 분산요건
1) 소액주주 * 아래 선택 1~3중 하나만 충족하면 됨
선택 1) 소액주주 소율 비율 25% 이상
선택 2) 공모주식수 25% 이상
선택 3) 자기 자본 500억 원(기준시가총액 1천억) 이상 법인은 10% 이상 공모하고
자기 자본에 따라 일정규모이상 주식 발행
- 자기자본 500억~1,000억(기준시가총액 1천억~2천억) : 100만 주
- 자기 자본 1,000억~2,000억(기준시가총액 2천억~5천억) : 200만 주
- 자기 자본 2,500억~5,000억(기준시가총액 5천억 원 이상) : 500만 주
- 국내외 동시 공모 법인은 공모주식수 10% 이상 & 100만 주 이상
2) 소액주주수 1,000만 명 이상(의결권주 기준)
3) 의무공모 : 상장 예비심사 청구 후 5% 이상 & 10억 원 이상 공모
4) 양도제한 : 발행주권에 대한 양도제한이 없을 것
(3) 경영성과요익 * 아래 내용 중 하나만 충족하면 됨
1) 매출액 이익 등
- 최근 매출액 300억 원 이상 및 3년 평균 200억 이상
- 최근 사업연도에 영업이익, 법인세 차감전 계속사업이익 및 당기순이익을 각각 실현
- 다음의 하나를 충족하면 됨
→ ROE : 최근 5% & 3년 합계 10%
→ 이익액 : 최근 25억 원 & 3년 합계 50억 원 이상
→ 자기 자본 : 1천억 원 이상 법인 : 최근 ROE 3% 또는 이익액 50억 원 이상이고
영업현금흐름이 양(+) 일 것
2) 매출액 및 기준시가총액 : 최근 매출액 500억 원 이상 & 기준시가총액 1,000억 원 이상
3) 매출액, 기준시가총액 및 영업현금흐름 : 최근 700억 원 이상 & 최근 기준시가총액 500억 원
이상 & 최근 영업현금흐름 20억 원 이상
(4) 안전성 및 건전성 요건
1) 영업활동기간 : 설립 후 3년 경과 & 계속적인 영업활동
2) 감사의견 : 최근 적정, 직전 2년은 적정 또는 한정(감사범위 제한에 따른 한정의견은 제외)
3) 합병 등이 있는 경우 : 합병 등이 있는 경우 당해 사업연도 결산 재무제표 확정되어 있거나
합병 등의 기일부터 사 엽연 도말까지 영업기간이 3월 미만인 경우 다음 사업연도의 반기 재무제표를
기준으로 감사보고서를 제출해야 함
4) 최대주주 변경 제한 : 상장 예비 삼사 청구일 이전 1년 동안 최대주주의 변경이 없을 것
'주식 > 주식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The Rich 증권 어플 사용법(사용 후기) (0) | 2020.09.02 |
---|---|
삼성증권(국내) 어플 사용법 (0) | 2020.09.01 |
코스피(KOSPI)란 무엇인가? (0) | 2020.08.30 |
애플, 테슬라 액면분할 후 상승? 하락? (0) | 2020.08.27 |
PER, PBR, ROE 용어 정의 (0) | 2020.08.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