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실이 튼튼하고 우량주이더라도 고점 대비 -20~30% 하락하는 것이 주식입니다.
하락을 하지 않고 계속 상승을 보인다면 그건 곧 버블이고 언젠가는 큰 하락을 보일 것입니다.
이처럼 본인이 관심을 가지고 있는 튼튼한 우량주가 큰 하락을 보인다면 저렴한 가격에 매수할 수 있는
할인기간이라 생각합니다.
그런 의미로 코스피 시가총액 1~10위 고점 대비 하락률을 정리해보았습니다.
순위 | 종 목 명 | 52주 최고 | 21.09.09(목) 주가 |
52주 최고 대비 하락률 |
1 | 삼성전자 | 96,800 | 75,300 | -22.2% |
2 | SK하이닉스 | 150,500 | 103,000 | -31.6% |
3 | NAVER | 465,500 | 399,000 | -14.3% |
4 | 삼성바이오로직스 | 1,047,000 | 913,000 | -12.8% |
5 | 삼성전자우 | 86,800 | 71,700 | -17.4% |
6 | 카카오 | 173,000 | 128,500 | -25.7% |
7 | LG화학 | 1,050,000 | 748,000 | -28.8% |
8 | 삼성SDI | 828,000 | 749,000 | -9.5% |
9 | 현대차 | 289,000 | 208,500 | -27.9% |
10 | 셀트리온 | 396,239 | 269,000 | -32.1% |
앞서 말씀드린 바와 같이 우량한 종목이라도 고점 대비 -20~30% 빠질 수 있기 때문에
하락률이 -20% 때부터 분할 매수하면 좋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전부 매수만큼은 비추천드립니다. 왜냐면 -20%가 최저점이 아니라.. 더 밑으로도 떨어질 수 있기 때문이죠
제가 가장 기억에 남는 건 테슬라인 거 같습니다. 테슬라의 52주 최고가는 '21년 1월 25일 900.4 달러로 이었는데
그 이후 '21년 3월 5일 539.49 달러까지 떨어졌습니다. 무려 -41.1% 까지 하락률을 보였습니다.
-20% 때 전부 매수했다면.. 그 이후에도 -21.1%까지 하락률을 보여준다는 말이죠
더 떨어질 것을 감안해서 분할 매수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주식 > 주식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으로 돈 버는 방법 (0) | 2021.09.14 |
---|---|
배당주가 주는 복리효과의 힘 (0) | 2021.09.13 |
삼성전자 주식 현황(21.09.09 목) (0) | 2021.09.09 |
삼성전자를 매수한 이유? 각 분야 1위라서 (0) | 2021.09.08 |
삼성전자 주식 현황(21.09.08 수) (0) | 2021.09.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