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을 매수하기 전 MDD(Max DrawDown)을 체크하시는 걸 권장드립니다.
MDD란 고점 대비 하락을 했을 때 가장 큰 값을 의미하는데요
MDD 폭이 크다 = 하락폭이 크다
MDD 폭이 작다 = 하락폭이 작다
MDD 하락이 연간 자주 발생한다 = 연간 하락이 자주 발생한다
MDD 하락이 연간 자주 발생하지 않는다 = 연간 하락이 자주 발생하지 않는다
이걸 통해.. 아래 2가지를 꼭 확인하세요
1) 하락폭이 얼마나 큰지
2) 연간 하락이 평균 몇 번 발생하는지
아래는 테슬라와 마이크로소프트의 대략 10년간의 MDD 차트인데요
TSLA는 연간 2020년~현재까지 -20% 넘게 빠졌고 2019년에는 거의 -50% 까지 빠지기도 했습니다.
반면 마이크로소프트의 경우 2016년 이후 -15% 이상 빠진 경우가 없습니다.
* MDD는 매달 마지막 일자의 종가로 기록이 되는 점 참고 바랍니다.
○ TSLA(테슬라) MDD 차트
○ MSFT(마이크로소프트) MDD 차트
본인이 연간 -20% 이상 빠지는걸 참을 수 있으며, 연간 2~3번 하락장이 와도 괜찮다 하시면 TSLA으로..
이런 하락장을 못 버티겠다 안전하게 꾸준히 오르는 종목을 선택하겠다 하시면 MSFT을 고르시면 됩니다.
MDD를 통해 본인의 성향에 맞는 종목을 고르시는걸 추천 드립니다.
'주식 > 주식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얼티인컴에 1억 넣으면 받는 배당금은? (0) | 2022.02.20 |
---|---|
MDD 쉽게 확인하는 방법 (0) | 2022.01.24 |
최대한 저점에 주식 매수하는 방법 (0) | 2021.10.24 |
삼성전자 주식 현황(21.10.13 수) (2) | 2021.10.13 |
하락장에 쉽게 추가매수하면 안되는 이유 (0) | 2021.10.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