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주식 공부

EPS, BPS, 부채비율 용어 정의

by 도담0426 2020. 9. 19.

○ EPS(Earing Per Share)

  1. 정의 : 주당순이익으로 1주당 얼마의 순이익을 창출하는지 알 수 있습니다.

  2. EPS 공식 = 당기순이익 / 총 주식 수(발행 주식 수)

  3. 설명

    - EPS가 높다는 것은 공식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당기순이익이 높다는 뜻이 됩니다.

      그리고 경영실적이 양호하다는 뜻이며, 배당 여력도 높기 때문에 긍정적인 뜻입니다.

    - 만약 전환사채, 증자로 주식 수가 많이 지게 되면 EPS는 낮아집니다.

    - 고로 EPS는 높을수록 좋습니다.

 

○ BPS(Book-value Per Share)

  1. 정의 : 1주당 순자산을 말합니다.

  2. BPS 공식 = 순 자산 / 총 주식 수(발행 주식 수)

    * 순 자산 = 자산 총계 - 부채 총계

  3. 설명

    - 공식을 반대로 설명하게 되면 "BPS * 총 주식수 = 순 자산" 이 됩니다.

    - BPS가 높다는 것은 순 자산이 크다는 것을 말합니다.

    - BPS는 기업활동을 중지하고 주주들에게 나눠줄 때 1주당 얼마씩 돌려줘야 하는지를 말합니다.

    - BPS가 높다는 것은 기업의 가치가 높다 라는 뜻이 됩니다. 고로 BPS는 높을수록 좋습니다. 

 

○ 부채비율

  1. 정의 : 부채비율은 기업의 재무 안정성을 나타냅니다.

  2. 부채비율 공식 = (부채총계 / 자본총계) * 100

  3. 설명

    - 100% 이하 : 매우 안전

    - 200% 이하 : 안전

    - 400% 초과 : 유의

    - 600% 초과 : 비추천

'주식 > 주식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내주식, 미국주식 차이  (0) 2020.09.25
분할매수의 중요성  (2) 2020.09.23
주식 용어 정리 - 2  (0) 2020.09.11
주식 용어 정리 - 1  (0) 2020.09.10
네 마녀의 날의 정의  (0) 2020.09.09

댓글